1 | | [[분류:커뮤니티]][[분류:디스코드 서버]] |
---|
2 | | [include(틀:관련 문서,top1=7th Beat Games,top2=7th Beat Games Café)] |
---|
3 | | [include(틀:A Dance of Fire and Ice)] |
---|
| 1 | [[분류[br]커뮤니티]][[분류[br]디스코드 서버]] |
---|
| 2 | [include(틀[br]관련 문서,top1=7th Beat Games,top2=7th Beat Games Café)] |
---|
| 3 | [include(틀[br]A Dance of Fire and Ice)] |
---|
4 | 4 | 표 |
---|
5 | 5 | [clearfix] |
---|
6 | 6 | [목차] |
---|
... | ... | |
---|
16 | 16 | 서버의 채널명을 게임의 컨셉에 맞게 지었다. 리듬 닥터 메인 채널의 이름은 '''#medical-floor'''였고, [[ADOFAI]] 메인 채널의 이름은 '''#observatory'''였다. 한국어권 채널 또한 규모가 커지면서 RD 채널과 ADOFAI 채널이 분리될때 컨셉에 맞춰 '''#수술실''', '''#천문대'''라는 채널명을 부여하였고, 이는 후술할 '한문대'와 '영문대'라는 단어의 유래가 된다. |
---|
17 | 17 | === 구 한국어 채널 정보 === |
---|
18 | 18 | 모든 한국어권 채널은 2023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로 분리되면서 아카이브 처리되었다. |
---|
19 | | * '''#규칙''': RDL 서버의 규칙을 한국어로 간략하게 요약하고, 번역분 전문으로 링크해주는 채널로, #regulations 채널에 대응되었다. RDL의 한국어 규칙은 이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에 거의 그대로 계승된다. |
---|
20 | | * '''#게시판''': 각종 공지나 RDL 서버 이벤트 관련 소식을 전달하는 채널로, #info-desk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---|
21 | 21 | * '''#rdrts''': RDL 서버에서 '''RDRTS'''라는 대형 이벤트를 진행중이던 당시에 한국어로 해당 이벤트 관련 채팅을 할 수 있었던 채널로, #rdrts-announcements와 #rdrts-discussion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---|
... | ... | |
---|
33 | 33 | * '''#카드회의실''': RDL 서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던 리듬닥터, ADOFAI 카드뽑기 봇 관련 대화 채널로, #cards-discussion 채널에 대응되었다. 이 봇은 이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에도 도입된다. |
---|
34 | 34 | * '''#음성채팅''': RDL 서버 내 음성채팅용 채널을 이용할 때, 마이크를 키지 않는 유저가 텍스트로 채팅할 수 있던 채널로, #doctahs-hallway-vc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---|
35 | 35 | * ~~'''#응급실'''~~: 개인의 고민과 힘든 일을 털어놓고 위로 또는 조언을 공유하는 채널로, #emergency-room 채널에 대응되었다. 이용자들이 해당 채널을 venting[* venting은 분출하다, 환기하다라는 뜻으로, 감정을 하소연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. 건전한 고민 공유와 조언 교환이 아닌 단방향적 감정 전시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의미로, 비슷한 단어로는 '감정 쓰레기통'이 있다.] 용도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 여러번의 문제제기와 논쟁 끝에 채널 유지의 효용성이 없고 서버에 부정적인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폐쇄 및 비공개 아카이브 처리되었다. 원본이 되었던 #emergency-room 채널도 몇년 후 비슷한 이유로 폐쇄되었다. |
---|
| 19 | * '''#규칙'''[br]RDL 서버의 규칙을 한국어로 간략하게 요약하고, 번역분 전문으로 링크해주는 채널로, #regulations 채널에 대응되었다. RDL의 한국어 규칙은 이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에 거의 그대로 계승된다. |
---|
| 20 | * '''#게시판'''[br]각종 공지나 RDL 서버 이벤트 관련 소식을 전달하는 채널로, #info-desk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---|
36 | 36 | 이 외에 한국어권 관리자용 채널이 있었으며, 일반 유저가 접근할 수 없었다. |
---|
37 | 37 | == 관련 용어 == |
---|
38 | 38 | * '''한문대 / 영문대'''[br]이 서버에서 얼불춤 채팅방의 이름을 천문대로 해놓은 것에서 파생된 용어로, 각각 #천문대 채널과 #observatory 채널을 지칭하였다. RDL에서 한국 커뮤니티가 분리된 이후에는 의미가 확장되어 한국어권 커뮤니티와 영어권 커뮤니티 전체를 지칭하게 되었다. |
---|
39 | 39 | === 밈 === |
---|
40 | | * '''rhythmdoctah''': 일그러진 얼굴 모양의 서버 전용 이모지로, 세가 제네시스(메가드라이브) 복제판 게임 Rythm Doctoh의 로고를 만들자고 하던 농담성 채팅에서 유래되었다.[[https://discord.com/channels/296802696243970049/296802696243970049/418633947056963586|#]] 이후 Rhythm Doctah로 개칭되어 서버 이모지로 쓰이게 되었으며, Rhythm Doctor 에디터에도 이스터에그로 삽입되었다. |
---|
| 40 | * '''rhythmdoctah'''[br]일그러진 얼굴 모양의 서버 전용 이모지로, 세가 제네시스(메가드라이브) 복제판 게임 Rythm Doctoh의 로고를 만들자고 하던 농담성 채팅에서 유래되었다.[[https[br]//discord.com/channels/296802696243970049/296802696243970049/418633947056963586|#]] 이후 Rhythm Doctah로 개칭되어 서버 이모지로 쓰이게 되었으며, Rhythm Doctor 에디터에도 이스터에그로 삽입되었다. |
---|
41 | 41 | |
---|
42 | 42 | == 논란 및 사건 사고 == |
---|
43 | 43 | == 여담 == |
---|